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서울형 이음공제 vs 내일채움공제 / 청년·중장년 채용 시 꼭 비교해야 할 지원금 제도는?

by 정보게이츠 2025. 8. 1.
반응형

서울형 이음공제 VS 내일채움공제

서울형 이음공제 vs 내일채움공제

청년·중장년 채용 시 꼭 비교해야 할 지원금 제도는?


2025년,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와 청년·중장년의 안정적 일자리 확보를 위한 대표 제도로 ‘서울형 이음공제’와 ‘내일채움공제’가 주목받고 있습니다. 두 제도 모두 장기근속 유도기업 인센티브 제공이라는 공통된 목적을 갖고 있지만, 그 구조와 지원 방식에서는 명확한 차이를 보입니다.


✅ 기본 구조의 차이점

🔹 내일채움공제

  • 중앙정부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주도
  • 전국 중소·중견기업 대상
  • 청년 중심이나 연령 제한은 없음
  • 근로자와 기업이 공동으로 납입
  • 만기 시 근로자에게 최대 1,224만원+이자 지급

     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

     내일채움공제

🔹 서울형 이음공제

  • 서울시가 자체 운영하는 지역 특화 정책
  • 서울 내 중소기업 대상
  • 청년(19~39세) + 중장년(50~64세) 동반채용 조건
  • 정부·서울시·기업·근로자 4자 분담
  • 기업 부담금 전액 환급 가능 (요건 충족 시)

  일자리 서울형 이음공제


💼 지원 대상 및 연령 조건

구분내일채움공제서울형 이음공제
대상 지역 전국 서울시
대상 연령 제한 없음 (청년 중심) 청년(19~39세) + 중장년(50~64세)
채용 조건 기존 또는 신규 가능 신규 채용만 가능
근로자 요건 정규직, 4대 보험 가입 정규직, 4대 보험 가입
 
 
 


💰 기업과 근로자의 부담금 차이

항목내일채움공제서울형 이음공제
근로자 납입금 월 11만원 월 10만원
기업 납입금 월 23만원 (환급 없음) 월 8만원 (전액 환급 가능)
근로자 수령액(3년) 1,224만원+이자 1,224만원+α
 

내일채움공제는 기업에게 실질적 인센티브는 없지만, 인력 유출 방지와 장기재직 유도 효과가 있습니다. 반면, 서울형 이음공제는 요건을 충족하면 기업 부담금이 사실상 ‘0' 이 되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.


🔄 제도 선택 가이드

  • 기술 전수·세대 연계를 중시하는 기업
    ➡️ 서울형 이음공제 추천
  • 청년 핵심인력 장기근속만 중점적으로 관리하고 싶은 경우
    ➡️ 내일채움공제 추천

서울형 이음공제는 청년-중장년 동반 채용 구조를 통해 기술 이전 및 세대 협력을 이끌며, 내일채움공제는 이미 많은 기업들이 활용 중인 전국 단위의 표준형 제도입니다.


📈 장기적 효과와 정책 전망

  • 내일채움공제: 인력 확보에는 효과적이나, 정부 예산 축소와 지속성 한계 우려
  • 서울형 이음공제: 지역 기반 모델로서 전국 확장 가능성 및 지속성 확보 기대

 


📝 결론

서울에서 청년·중장년을 신규 채용하는 중소기업이라면, 기업 부담이 사실상 없는 서울형 이음공제가 강력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.
전국적으로 활용 가능하고, 핵심 인력의 안정적 고용을 원한다면 내일채움공제를 고려해 보세요.

👉 지금 우리 기업에 가장 유리한 제도는 무엇인지, 꼼꼼히 비교해보는 것이 2025년 인력 정책의 첫걸음입니다!

도움 되는 글

자세한 원문보기

반응형